12·3 불법계엄 사태 당시 국민의힘 지도부가 국회의 계엄 해제 표결을 방해했다는 의혹을 수사 중인 조은석 내란 특별검사팀이 추경호 전 국민의힘 원내대표의 연쇄 통화 내역을 확보하고 경위를 조사 중이다.
12일 경향신문 취재에 따르면 특검팀은 계엄 선포 직후인 지난해 12월 3일 오후 11시께 추 전 원내대표가 홍철호 전 청와대 정무수석과 통화한 사실을 확인했다. 통화 직후인 오후 11시 12분에는 한덕수 전 국무총리와, 11시 22분께는 윤석열 전 대통령과 연락이 오간 것으로 파악됐다.
특검은 당시 국민의힘 지도부가 소속 의원들의 계엄 해제 요구 결의안 표결 참여를 방해했다는 의혹에 수사력을 집중하고 있다. 계엄 선포 직후 지도부는 의원총회 소집 장소를 여러 차례 바꿔 공지했고, 이 과정에서 당 의원 108명 중 18명만이 표결에 참여했다. 특히 윤 전 대통령이 계엄 선포 약 한 시간 뒤 추 전 원내대표와 나경원 의원에게 전화를 건 사실이 드러나면서, 표결 불참이 대통령 지시와 연계된 것이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됐다.
특검은 추 전 원내대표가 홍 전 수석, 한 전 총리, 윤 전 대통령과 나눈 대화 내용과 당시 이를 당 소속 의원들과 공유했는지 여부를 조사 중이다.
추 전 원내대표는 관련 의혹을 부인했다. 그는 “계엄 해제 표결과 관련한 논의는 없었으며, 국회에서 당사로 이동하던 중 상황을 파악하기 위해 통화했을 뿐”이라며 “당시 설명을 듣고 정국에 대한 우려를 나눈 게 전부”라고 주장했다.
또한 의원총회 장소 변경에 대해서는 “당초 국회에서 개최하려 했으나, 국회 통제 상황으로 한동훈 대표실이 위치한 당사로 옮겼다가, 출입 가능 소식을 듣고 다시 국회로 변경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특검은 이번 주 중으로 추가 소환 조사와 참고인 조사를 병행해, 당시 통화의 실제 목적과 표결 불참의 연관성을 규명한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