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3 비상계엄 사태를 수사 중인 조은석 내란특검팀이 계엄 선포 당일 밤 추경호 당시 국민의힘 원내대표와 한덕수 당시 국무총리 간의 통화 내역을 확보했다고 11일 밝혔다. 이 통화에서 한 전 총리가 국무위원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윤석열 전 대통령이 계엄을 강행했다는 내용이 오간 것으로 확인됐다.
박지영 특검 대변인은 이날 오후 브리핑에서 "지난해 12월 3일 밤 11시 12분경 추 전 원내대표와 한 전 총리가 7분 이상 통화했던 것이 확인됐다"고 발표했다.
앞서 조경태 국민의힘 의원은 이날 서울고검에서 4시간가량 특검 조사를 받은 뒤 기자들에게 "한 전 총리가 국무위원들이 계엄을 반대했는데 윤 전 대통령이 강행했다는 이야기를 추 전 원내대표와 통화에서 했다"고 전했다.
"불법성 알고도 계엄 해제에 소극적"... 추경호 책임론 제기
조 의원은 "한 전 총리가 국무위원들이 반대했다고 말했기 때문에 원내대표는 불법성과 위헌성에 대한 문제가 있다는 것을 알았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특히 "계엄에 대해 알고도 당사로 가는 등 추 전 원내대표가 계엄 해제에 적극적이지 않았다는 점이 심각하다"고 비판했다. 이는 추 전 원내대표가 계엄의 불법성을 인지하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적극적인 해제 노력을 하지 않았다는 의혹을 제기하는 것이다.
추 전 원내대표가 계엄 선포 직후 윤 전 대통령과 통화한 사실은 알려져 있었지만, 한 전 총리와의 연락 기록이 공개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국민의힘 의원 표결 불참, 당 지도부 개입 의혹 수사
내란특검은 국회의 계엄 해제 요구 결의안 표결 당시 국민의힘 의원들의 대거 불참에 윤 전 대통령과 추 전 원내대표 등 당 지도부가 관여했을 가능성을 보고 있다.
계엄 선포 이튿날인 4일 새벽 국회 본회의장에서 열린 계엄 해제 결의안 표결에는 국민의힘 의원 108명 중 조경태 의원을 포함한 단 18명만 참석했다. 이는 전체 의원의 16.7%에 불과한 수준이다.
특검은 이날 김예지 국민의힘 의원도 참고인으로 조사했다. 김 의원은 계엄 해제 결의안 표결에는 불참했지만, 7일 윤 전 대통령 탄핵소추안 표결에서는 찬성표를 던진 바 있다.
노상원 전 정보사령관 재조사... "특정 인물과 통화 포착"
특검은 이날 노상원 전 국군정보사령관에 대한 재조사도 실시했다. 노 전 사령관은 4일에 이어 이날 두 번째 조사를 받았다.
박 특검 대변인은 "노 전 사령관이 특정 중요 시기마다 누군가와 통화한 것을 포착하고, 해당 인물을 특정한 것으로 알려졌다"고 밝혔다. 이어 "당시 조사에 잘 협조해서 진술이 잘 이뤄진 것으로 알고 있으며, 이날 조사도 잘 이뤄지고 있다"고 전했다.
"사실관계 파악 단계"... 추가 피의자 전환 가능성
박 특검 대변인은 조사 대상과 관련해 "사안의 진상을 밝히는 데 있어서 당시 국회 상황을 알 수 있는 분들은 모두 조사 대상"이라고 설명했다.
"실제 고발된 분들은 피의자 신분이지만, 실질적으로 누가 처벌돼야 하는지는 사실관계 확정이 돼야 할 것"이라며 "현재는 사실관계를 파악하는 단계이고, 구체적으로 몇 명인지 정해져 있는 단계는 아니다"라고 부연했다.
이는 수사 진전에 따라 추가적인 피의자 전환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하는 발언으로 해석된다. 특히 추경호 전 원내대표의 경우 계엄의 불법성을 인지했음에도 적극적인 저지 노력을 하지 않았다는 의혹이 제기되면서 향후 수사 확대 여부가 주목된다.